#김치 #파오차이 #kimchi #중국문화공정
천년을 이어온 한국인의 맛!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김치!
한국인의 소울푸드이자 역사를 함께 하는 김치가 최근 종주국 논란에 휩싸였다.
김치의 역사를 바로 알아야 어이없는 논란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 김치의 모든 것에 대해 이하연 김치 명인과 개그맨 김학도와 함께 알아보았다.



✔ 지난 1월, 쓰촨성의 절임 채소인 ‘파오차이’가 국제 표준 인증을 받으면서 중국이 파오차이가 김치의 세계 표준이라고 억지 주장을 하고 나섰다.
✔ 한국의 김치(kimchi)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인증을 받은 바 있다.
✔ 김장 문화는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中 "겨울을 나기 위해 '지염' 즉, 소금에 절인 채소를 먹었다"라고 기록.
✔ 조선 시대 교육서 <훈몽자회> 中 김치의 어원이 담겨있음.


✔ 단순한 절임 채소와 달리, 양념부터 다른 김치.
✔ 배추를 절여서 씻은 다음 물기를 빼는 김치는 여기에 마늘, 생강, 고추, 파 그리고 젓갈이 들어간다.
✔ 전 세계적으로 채소 절임 음식에 젓갈이 들어가는 나라는 우리나라뿐!
✔ 만드는 지역에 따라,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어떤 양념을 버무리냐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김치의 맛!
한국에 정식 분류되어 있는 김치의 종류만 해도 200종이 넘는다고 한다.


✔ 시간이 지나면 발효되면서 새콤한 맛을 자랑하는 동치미!
✔ 우리는 동치미를 국물까지 먹지만, 파오차이는 건더기만 건져먹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 김치 재료 하나하나가 모여 22가지의 효능을 나타낸다는 의미의 11월 22일은 김치의 날!
✔ 김치의 우수성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근거 없는 주장이 난무하는 요즘, 우리는 김치 종주국으로서 김치를 반드시 지켜내야 할 것이다.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를 재밌게 전해주는 '생방송 오늘 저녁'은 매주 월~금 오후 6시 10분에 MBC에서 방송된다.
iMBC연예 정민경 | 화면캡처 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