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A/S.언론사 세무조사 그 이후
2001년 2월 국세청은 23개 중앙언론사에 대한 장장 130여일 간의 
세무조사를 실시했다.
검찰이 조세포탈 등 혐의가 있는 언론사주를 소환 조사하자, 일부 
언론은 검찰의 움직임에 대해 언론탄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사 결과 단일업종으로는 최대규모인 5천여 억 원의 추징세가 
부과됐고 세금을 포탈한 6개 신문사 사주들이 검찰에 고발됐고, 
일부는 구속 조치 됐다. 
DJ정권의 언론개혁과 맞물려 전면적인 언론사 세무조사는 
2001년 한 해, 뜨거운 화두였다. 그러나 그 이후 재판 결과에 대한 
후속보도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 그 후 어떻게 됐는지, 언론사주의 재판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사실은에서 추적했다.

뉴스 확대경.‘정치개혁’ 쟁점 관련 분석
정치개혁을 위한 주요 법안의 개정 추진 과정이나 법안 내용이 언
론의 외면으로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확대경에서는 신문과 방
송이 간과한 정치개혁법안의 본질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각 
당에서 주장하는 개혁안과 정개협(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주장
하는 개혁안의 쟁점을 비교, 분석한다. 또 깨끗한 정치의 실현을 
바라는 시민들의 목소리도 함께 들어본다.

뉴스 초점.정치개혁’ 관련 언론보도 분석
올 봄, 총선을 앞두고 있는 지금,  국민들은 정치개혁을 그 어느 때
보다 열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권은 정치개혁
보다는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아직도 이러한 정치권의 행태가 반복되고 있는 데는 언론이 제 역
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언론은 정치개혁의 기본적인 방향과 핵심 내용을 외면한 채 정치
인들의 동정이나 정치권의 공방에 대한 보도에만 치중하고 있다.
정치개혁에 대해 정작 국민들이 알아야 할 알맹이는 빠뜨린 채  
소리만 요란한 신문과 방송의 보도를 집중 분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