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를 보았다  - **시 연쇄 강도살인 사건 <2부>.
<지난 이야기>
두 달 사이, 세 명이 살해되는 두 건의 잔인한 살인사건이 발생한
다. 현장에 남겨진 한 장의 메모지와 도난 당한 수표에 써 있는 ‘이
정재’라는 이름으로 보아, 사건은 동일범의 소행으로 밝혀지고... 
유일한 목격자인 한선영(가명)과 대질한 용의자 이명수(가명)는 
자신의 범행 사실을 부인하다가 한선영의 눈물겨운 호소 끝에 결
국 자백을 한다. 하지만 법정에 선 이명수는 범행 사실을 전면 부
인하고, 심지어 재판 도중 억울함을 외치며 법정을 도주하는데... 

* “살인혐의 외에 도주 미수죄를 추가, 기소합니다.”
재판 도중 경비가 허술한 틈을 타 자신의 억울함을 외치며, 달아
난 피고인 이명수! 
포승에 묶인 채 탈주한 그는, 결국 법원 마당을 벗어나지 못한 채 
검거된다. 그의 도주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극형이 두려워서일까 
아니면 그의 주장대로 억울해서일까? 피고인 이명수의 도주 사건 
이후, 법정에 대한 경비가 삼엄해진 가운데 재판이 재개된다. 검사
가 재판 도중 달아난 피고인 이명수에게 살인혐의 외에 도주 미수
죄를 추가, 기소하면서 재판은 점점 피고인 이명수에게 불리하게
만 돌아간다.

* 신뢰성을 잃어가는 유일한 목격자의 증언, 그리고 범인은 제
3의 인물?
**동 모자살인사건의 피해자이자 유일한 목격자인 한선영. 피고인
이 범행을 부인하자 충격으로 쓰러져 재판이 중단되기도 했었는
데... 변호인이 한선영을 다시 증인 으로 신청한 이유는 무엇일까? 
피해자 한선영의 진술에 따라 작성된 몽타쥬는 피고인 이명수의 
모습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변호인은 법정에서 피해자 한선영
에게 직접 종이에 쓴 글씨를 들어 보이며, 읽어보라고 하지만 시력
이 나쁜 피해자 한선영은 글씨를 읽지 못한다.
피해자 한선영의 목격자 진술은 과연 신빙성이 없는 것일까? 
@@동 경리살인사건의 피해자 최은주의 체액 유전자 검사를 실시
한 결과, 정액 양성반응이 나온다. 피해자 최은주가 남자 관계가 
복잡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치정관계에 의한 살인 가능성이 제
기된다. 체액의 주인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변호인은 제3의 인물
이 범인이라고 주장한다.

* 예상을 뒤엎은 무죄 선고! 그러나 검찰측의 항소로 계속되
는 팽팽한 법정 공방
메모지와 수표에 적힌 똑같은 이름, 그리고 주변인의 전화번호와 
유사한 전화번호.우연으로 치부할 수 없는 정황인 것은 분명하지
만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또한 피해자 한선영의 증언 또한 신뢰성
을 잃어 재판부는 객관적인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피고인 이
명수에게 강도 살인죄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다.  
그렇다면, 두 사건의 범인이 동일하게 ‘이정재’ 라는 가명을 썼다
는 것, 전화 번호가 피고인의 것과 유사하다는 것이 과연 우연일
까?
검사의 항소로 2심 재판이 진행된다. 1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지
만 도주 미수죄에 대해선 징역 10월의 실형이 선고되어 피고인 이
명수는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되는데... 
검찰측은 피고인 이명수의 교도소 동기인 재소자 오상훈(가명)을 
증인으로 신청한다. 최은주를 살해한 이후, 오상훈에게 면회를 간 
피고인 이명수는 사고 냈다고 말하는데...
사고 냈다는 표현은 과연 검찰측 주장대로 살인을 했다는 뜻일까? 

* 증인들에 의해 밝혀지는 새로운 사실들! 
과연 피고인 이명수의 최후는? 
범인의 특징적인 행동이 피고인과 같다는 한선영의 진술은 과연 
사실일까? 
재판부는 범행당시의 폐쇄회로 화면과 현장검증시 폐쇄회로 화면
에 대해 정밀 감정을 실시키로 하는데... 전문적인 장비로도 은행
폐쇄회로의 범인 얼굴은 식별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실제 범인의 
행동과 피고인의 행동이 유사하다는 점은 사실로 확인된다. 그렇
다면, 피고인 이명수가 범인인 것인가?
피고인이 왼손잡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범인이 아니라는 변호
인측 주장에 설득력이 더해가고... 왼손잡이라는 주장에 따라, 재
판부는 사체에 대한 정밀 감식을 의뢰한 결과, 의외의 사실이 밝혀
지게 된다.
사체에 대한 정밀 감식을 한 국과수 부검의, 그가 밝혀줄 사체의 
비밀은 과연 무엇일까?  

재판 마지막까지 자신의 무죄를 주장한 피고인 이명수.
1심에서 이미 무죄를 선고받았던 이명수에게 항소심 재판부는 과
연 어떤 판결을 내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