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00 당구장 주인 살해사건 <1부>.
# 목격자 없는 당구장 여주인 살해사건. 
200X년 2월 27일 아침 당구장 여주인 장혜란(가명. 29세)이 살해
된 
채로 발견된다. 
사체는 성폭행을 당한 듯 바지 지퍼가 내려져 있었고, 사건현장은 
강도를 당한 듯 금고가 옮겨져 있었다. 하지만 경찰은 피해자의 신
발이 
소파 밑에 가지런히 놓여있어 사건 당시 두려움을 느끼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 주변인물을 대상으로 수사를 시작했다.
이 때 경찰은 가족들로부터 피해자와 남편 박기태(가명. 32세)의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진술을 듣게되었고 박기태를 1차 용의자로 지목하
고 조사
한다. 
체포된 박기태는 경찰이 사망시각으로 추정한 새벽 5시 30분경 딸
과 함께 
잠을 자고 있었으며 아침에 출근을 했다고 진술한다. 하지만 박기
태의 
알리바이를 입증해줄 유일한 증인인 딸은 당시 잠들어 있었기 때
문에 
박기태의 진술을 입증할 증거는 없었다. 그러나 박기태가 살해했
다는 
뚜렷한 증거도 없는 상황! 더군다나 살해당시 목격자도 없었다. 
사건은 뚜렷한 증거도, 목격자도 없는 상태. 
과연 당구장 여주인을 살해사건의 진실은 무엇인가?

# 채무가 있었던 내연의 남자에 의한 살인인가? 
단서를 찾기 위해 사건 현장을 찾은 경찰은 살해당하기 전 피해자
가 
쓴 것으로 보이는 편지 한 장을 발견하게 되는데.. 
편지에는 피해자에게 내연 관계의 남자가 있었고, 그 남자에게 돈
을 
빌려준 것으로 보이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편지를 단서로 피해자 
주변을 수사하던 경찰은 피해자의 조카 김민호(가명. 27세)로부터 
사건의 단서가 될 중요한 사실을 듣게된다. 
사건 전날 김민호는 장혜란이 채무자와 전화 통화하는 것을 보았
고, 
사건 당일 만나기로 하는 듯 했으며 그 때 자신에게 차용증 원본
을 맡겨
놓았다고 진술한다. 경찰은 차용증 원본에 적힌 채무자 배민수(가
명. 28세)를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 장혜란 살인 혐의로 체포한다. 
장혜란이 남편과 별거할 당시부터 내연의 관계를 맺어 조금씩 돈
을 빌리기 
시작한 배민수는 그 부채가 1억원이 넘게되자 사건 당일 장혜란의 
협박에 
격분, 우발적으로 살해했다며 범행 사실을 인정한다. 

# ‘살해당시 그 곳에 없었다’는 피고인의 주장! 
- 사망시각을 둘러싼 법정공방 
법정에 선 배민수는 사건 당일 새벽 2시경 장혜란을 만났고, 빚독
촉으로 
인해 다툰 사실은 있지만 살해하진 않았다며 범행을 부인한다. 
그리고 배민수의 선배 오정환(가명. 32세)은 사건 당일 새벽 6시
경 
사건 현장과 1시간 가량 떨어진 사무실에서 피고인 배민수를 보았
다고 
증언한다. 만약 사망시각이 5시 30분이 정확하다면 배민수는 범인
이 
아닌 상황! 
검찰측과 변호인측은 사망추정시각을 둘러싼 공방을 벌이는데.. 
법정에 선 부검의는 사망추정을 5시 30분이라고 추정한 것은 ‘뮐
러 
공식’으로 사체의 직장온도를 측정해서 추정했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에 
따라 사망시각은 달라질 수 있다고 증언한다. 검찰측은 사건 당일 
당구장의 
실내 온도가 높았기 때문에 사체 온도가 천천히 식었을 것이라고 
주장, 
사망시각을 5시 30분 이전으로 추정한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배민수가 
장혜란을 살해하고 6시경 사무실에 도착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다. 

# 뚜렷한 증거가 없는 살인사건, 
당구장 여주인 살해사건의 범인은 과연 누구인가?
검찰측은 채무에 시달려왔던 피고인에게 범행동기가 충분히 있었
고, 
사건 당일 피고인이 옷을 세탁했다는 피고인의 여자친구 강인선
(가명. 
26세)의 증언 등으로 보아 계획된 살인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변호인측은 옷에서 혈흔이 검출되지 않은 점, 사망시각과 
피고인의 
행적이 일치하지 않은 점, 현장에서 피고인의 지문이나 흔적이 전
혀 나오지 
않은 점을 들어 제 3자의 범행일 가능성이 있다며 피고인의 무죄
를 
주장하는데.. 
경찰의 초동수사 부족으로 뚜렷한 증거가 없었고, 정황증거만을 
둘러싼 
법정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변호인의 사무실로 한 통의 팩스가 
도착한다. 
과연 변호인을 놀라게 한 팩스의 내용은 어떤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