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회 ㅣ  2005-03-13
다시보기:
조회 :
2005년 3월 13일 (일) / 제 8 회

● 기획특집 2부작 “대학이 변해야 국가가 산다”
1부 - 위기의 대학, 돌파구는 없는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한 고급인력 양성·확보가 국가 경
쟁력의 관건!
따라서 새로운 지식창출과 창의적인 인재양성의 핵심기관인 대학 
기능과 역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1월 영국의 더 타임즈 평가 세계 대학 평가팀이 발표
한 세계 상위 200개 대학에서 국내대학이 100위권 밖으로 평가되
고(서울대 119위), 중국 상해 교통대 분석에서도 150위권 안에 들
지 못한 것(서울대 13~201위)으로 평가되는 등 국제사회에서 우
리 대학들의 질적 경쟁력 수준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 
이미 선진국들은 세계화·정보화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하
여 과감한 대학개혁을 추진!우리 대학들도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
는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거듭나야할 때인데...
위기의 우리 대학 그 원인을 살펴 보고 과연 그 돌파구는 무엇인
지 함께 모색해본다.

<전문패널>
 권대봉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장)
 김상봉 (‘학벌없는 사회‘ 정책위원장 / 문예아카데미 교장)
 이석주 (동신대 교수 / 前 전국대학기획처장 협의회장)
 이정주 (코리아 리쿠르트 대표)

▶ 우리 대학, 왜 위기인가?
- 대학 위기 문제점
- 특히 지방대의 위기 그 원인

▶ 위기의 현실
- 대학의 위기 상황 VCR
- 대학생(방청객) 발언
- 기업과 학생들이 학교에 바라는 점
- 교수사회의 경쟁력

▶ 위기의 대학, 돌파구를 찾아라!!!
- 정부의 대안 VCR
- 대학 구조 개혁에 대한 견해
- 대학 정보 공시제
- 대학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