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회 ㅣ  2005-02-13
다시보기:
조회 :
2005년 2월 13일 (일) / 제 4 회

<교육 돋보기>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저출산 시대 여성과 국가대응전략'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들은 저출산 현상의 주요 
원인은 경제적 부담 그 중 자녀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이 많은 비중
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당 교육비 지출액은 월 평
균 49만원, 연간 총 사교육비만도 13조원. 사립 유치원의 수업료
는 국립대의 3배라고 하는데... <교육 돋보기>에서는 교육비 관련 
3가지 뉴스를 통해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꼬집어본다

- 자녀 양육비 및 교육비 부담이 저출산의 원인
- 자녀 교육비 가구 당 평균 월 49만원
- 유치원 수업료 국립대학의 3배

<업그레이드 2005, 미래교육보고서>

● 우리 아이들의 미래, 적성이 우선이다!
얼마전 한 인터넷 채용 정보 사이트가 직장인 2324명을 대상으로 
‘현재의 직업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하느냐’는 설문조사
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의 64.3%가 ‘맞지 않는다’ 고 답해 충격
을 주고 있다. 진로 지도는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일임에
도 불구하고 그 동안 우리는 아이의 적성에는 무관심했던 것이 사
실이다. 그렇다면, 부모가 그리고 학교가, 아이의 적성을 잘 파악
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잡아주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
가. <업그레이드 2005 미래교육 보고서>에서는 현 적성검사의 문
제점은 무엇이고, 우리 아이들의 적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 적성 발견, 왜 중요한가
- 적성이란 무엇인가?
- 자신의 적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경우, 생기는 문제
- 7차 교육과정에서 적성이 중요한 이유

▶ 학교, 학생들의 적성을 찾아주고 있는가
- 학교 적성검사의 문제점
- 학교 적성검사의 개선방안

▶ 내 아이 적성, 얼마나 알고 있나
- 아이의 적성을 모르는 경우 어떻게 찾아줘야 할까?
- 잘하는 것도, 하고 싶은 것도 없는 아이의 경우
- 적성은 찾았는데, 능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

▶ 이제 우리 아이 적성을 찾아주자!
- 내 아이 적성 발견 3가지 포인트
- 이미 적성을 찾은 아이들의 경우 교육방법